인도를 방문한 뒤 극비리 전격적으로 우크라이나 키이우를 찾은 기시다 총리. <br /> <br />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과 정상 회담을 하며 우크라이나에 변함없는 지원을 강조한 것은 G7으로서도 상징적 의미가 큽니다. <br /> <br />[기시다 후미오 / 일본 총리 : 이번 회담에서 일본이 에너지 분야에 무상으로 4억7천만 달러를 지원하고 나토 펀드를 통한 비치명적 장비 구매에 3천만 달러를 지원하기로 합의했습니다.] <br /> <br />특히 올해 G7 의장국 정상인 기시다 총리의 방문은 중국 시진핑 주석이 러시아를 방문해 푸틴 대통령과의 밀착을 한창 과시할 때 이뤄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는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중계자 역할을 통해 외교 영향력을 키우려는 중국을 견제하고, G7의 단합된 메시지를 분명히 하기 위함도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니혼게이자이 신문은 중러 정상회담에서 중국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정전과 대화를 주장했는데, <br /> <br />이 같은 중국의 영향력 확대는 G7에는 타격으로, 우크라이나 침공에 애매한 입장인 신흥국과 개발도상국에는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기시다 총리가 앞서 인도 모디 총리를 찾은 것도 신흥국·개발도상국 맹주를 자처하는 인도를 G7에 한층 가까이 끌어들이려는 포석으로도 해석됩니다. <br /> <br />기시다 총리의 키이우 방문 이후 서방 주요국들은 3월 말 '제2차 민주주의 정상회의' 5월 G7 히로시마 정상회의 등을 통해 중·러 견제에 더욱 속도를 낼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히로시마 G7 회의 계기에 한미일 정상회담이 성사되면 우리나라도 더욱 강력한 중러 견제 참여를 요구받을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G7을 중심으로 한 서방과, 중국·러시아의 대립 구도가 선명해지면서 양 진영의 외교 각축전도 가열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도쿄에서 YTN 김세호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30323102145131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